
Seoul City Multipurpose Sports Center Design Competition
서울시 다목적 체육센터 및 어린이공원 설계공모
Serene Vitality 고요한 활기
개인 삶의 질을 추구하는 사회의 변화에 따라 커뮤니티에 위치하는 체육시설의 전문화도 가속되고 있다. 경사지에 소규모 주거들이 오밀조밀 펼쳐져 있던 방배동 재개발 5구역은 이제 대규모 고층 고급 공동 주거단지로 변모하고 있다. 이런 극적인 컨텍스트 변화 속에 재건축 5구역 부지의 안쪽 끝자락, 이수중학교 북쪽 경사진에 위치한 이 다목적 체육센터는 지역 주민의 체육활동과 여가를 위한 복합공간이다. 변모하는 도시맥락 속에서 커다란 규모의 체육시설은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고요하게 자리잡고 있다.
경사지의 지형적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어린이 공원과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연속된 입체적 공공공간을 지상부에 배치하였으며, 커다란 수영장과 종합체육관은 그 위로 띄워 올리는 방식을 선택하였다. 수영장은 50미터 8레인 규모로, 전문적인 수영 경기 및 지역 사회의 수영 교육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농구장 2개 크기의 종합체육관은 농구뿐만 아니라 배구, 배드민턴 등 다양한 스포츠와 지역 행사를 수용할 수 있는 유연한 공간이다.
체육센터의 상부 매스는 거대한 규모에도 불구하고 주변환경과 불화하지 않으며 차분하고 고요하다. 외관은 단정하지만, 내부는 건강한 육체의 활기를 담기에 부족함이 없도록 자연광을 최대한 활용해 빛이 풍부하며, 공기 순환을 위해 자연 환기가 가능한 구조로 설계하였다. 이로써, 내부는 항상 밝은 빛과 신선한 공기가 흐르는 가운데 활력 넘치는 체육 활동이 가능하다.
경사지에 대응하는 다양한 레벨의 로비공간과 기계전기실, 수영장 피트와 주차시설을 담는 건축물의 하부와 수직코어, 수영장과 체육관의 지원시설이 들어가는 건축물의 중앙부는 RC프레임구조로, 장스팬 대규모 공간은 스틸트러스 구조로 RC 구조 위에 가볍게 얹어져 있으며 외벽은 메가트러스로 횡력에 저항하는 구조형식을 결정하였다. 이 구조형식은 간결하지만 크고 작은 프로그램 공간을 단단하게 품는다. 도구머리 공원에서 새로이 조성되는 반달공원까지 이어지는 다채로운 외부공간 위에 자리잡은 이 체육센터는 어린이 공원과의 적극적인 내외부 연계와 함께, 서울 시민들에게 개방적인 실내 공공공간을 제공하며, 건강과 활력을 추구하는 공간이 될 것이다.
용도
기간
위치
대지면적
건축면적
연면적
건물 규모
설계팀
: 다목적체육센터 및 어린이공원
: 2024
: 서울시 서초구 방배동 974-3번지 일대
: 11,558.90m²
: 4,600.66m²
: 14,985.95m²
: 지하2층, 지상5층
: 서지영, 정연중, 이동주, 홍수민, 문주현, 유윤아 (TAAL)
: 조항만, 김규은, 김규빈, 김영훈, ? (SNU)
Seoul City Multipurpose Sports Center - Diagram
